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페인 니에(NIE) 신청 3단계: 비자 & 서류 준비하기

by holaJeny 2025. 6. 11.
반응형

오늘은 스페인비자를 받고 학업 등의 장기체류를 하시려는 분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행정절차, 바로 바르셀로나 NIE  신청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한국에서 받은 비자는 임시 서류일 뿐, 스페인 현지에서 합법적인 거주 신분을 유지하려면 니에 신청니에 서류를 완벽하게 준비해야 합니다. 이 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을 자주 보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저의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바르셀로나 니에TIE 카드를 발급받는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풀어드리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스페인에 입국한 후에 진행해야 할 NIETIE 카드 발급 절차를 단계별로 설명해 드릴 거예요. 특히, 경찰서 방문 예약 (cita previa [씨따 쁘레비아]) 부터 서류 제출, 지문 등록, 그리고 최종적으로 TIE 카드를 수령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상세하게 알려드릴게요. 스페인 장기 체류를 위한 마지막 관문을 성공적으로 통과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이 글을 놓치지 마세요!

목차

    스페인 장기체류 학생비자 NIE & TIE 신청 방법

     

     

    스페인 비자, 필수 관문:  NIE & TIE의 모든것

     

    한국에서 스페인 장기 체류 비자를 받아 입국했다고 해서 모든 행정 절차가 끝난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의 여권 에 부착된 비자 스티커는 말 그대로 '임시 비자'의 역할만 할 뿐입니다. 스페인에서 3개월 이상 체류하려면 반드시 NIE (외국인 식별 번호) 와 이 번호가 기재된 실물 카드인 TIE (외국인 신분증 카드) 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 NIE (Número de Identificación de Extranjero): 한국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념으로, 스페인 내에서 모든 공식적인 신분 확인에 사용되는 고유 번호입니다. 은행 계좌 개설, 거주지 임대 계약, 취업, 공공 의료 서비스 이용 등 스페인에서 살아가기 위한 모든 필수 활동에 이 번호가 필요합니다.
    • TIE (Tarjeta de Identidad de Extranjero): NIE 번호가 새겨진 플라스틱 카드 형태의 신분증입니다. 여러분이 스페인에서 외국인으로서 합법적으로 거주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가장 중요한 신분증 역할을 합니다. 휴대폰개통이나 행정 업무 등 모든 일상생활에서 이 TIE 카드가 필요합니다.

    스페인 입국 후 3개월 이내에 이 NIE와 TIE 카드 신청 절차를 시작해야 합니다. 이 기간을 놓치면 불법 체류로 간주될 수 있으니 반드시 기한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도 입국 후 바로 이 절차를 준비하느라 꽤 바빴던 기억이 있습니다.

     

     

    니에 신청의 첫 단추: 엠빠드로나미엔또 (Empadronamiento) 완벽 가이드

     

    NIETIE 카드를 신청하기 전에 반드시 먼저 완료해야 할 과정이 있습니다. 바로 '엠빠드로나미엔또 (Empadronamiento)' 입니다. 이는 여러분이 스페인의 특정 지역, 즉 시에 거주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등록하는 절차로, 한국의 전입 신고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엠빠드로나미엔또의 중요성: 엠빠드로나미엔또는 여러분의 스페인 내 거주지를 증명하는 유일한 공식 서류입니다. NIETIE 카드 신청 시, 그리고 나중에 갱신 시에도 이 엠빠드로나미엔또 서류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 엠빠드로나미엔또 신청: 스페인 입국 후 거주지를 구한 즉시, 해당 시청 (Ayuntamiento) 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바르셀로나의 경우, 각 지역별 시청 사무실 (Oficina de Atención Ciudadana, OAC) 에서 진행합니다. 
    • 엠빠드로나미엔또 신청 방법: 제가 이전에 작성했던 블로그 글 "[1편] 스페인 니에(NIE) 신청 1단계: 엠빠드로나미엔또(Empadronamiento) 신청 단계별 따라하기"에서 엠빠드로나미엔또 신청 준비, 예약 방법, 제출 서류 등에 대해 자세히 다루었으니, 이 과정을 먼저 완료해 주세요.
     

    스페인 띠에(TIE, 외국인 신분증) 신청 1단계: 엠빠드로나미엔또(Empadronamiento) 신청 단계별 따라하

    안녕하세요! 바르셀로나에서 일하며 살고 있는 제니입니다. 오늘은 스페인에서 비자를 신청하면서 가장 중요한 첫 단계인 엠빠드로나미엔또 (Empadronamiento)를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

    holajeny.com

     

    📌 엠빠드로나미엔또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인 NIETIE 카드 신청을 위한 경찰서 시따 (Cita) 를 잡을 수 있습니다. 절대 순서를 헷갈리지 마세요!

     

     

    NIE & TIE 카드 신청 절차: 경찰서 총 3번 방문

     

    엠빠드로나미엔또를 받았다면, 이제 NIETIE 카드 발급을 위해 경찰서에 총 3번 방문하는 절차를 시작해야 합니다. 각 방문 시 사전예약 (시따, Cita) 이 필수이며, 이 과정이 가장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1️⃣ 첫 번째 방문: 서류 제출

    • 목적: 한국에서 스페인 대사관에 제출했던 비자 신청 서류들 중 일부와 엠빠드로나미엔또 서류 등을 스페인 경찰서에 다시 제출하는 단계입니다. 여러분이 스페인에 거주할 자격이 있음을 다시 한번 증명하는 과정이죠. 제출해야하는 서류는 다음 섹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준비: 필요한 서류들을 완벽하게 준비한 후, 경찰서 방문 예약 (시따, cita) 을 잡아야 합니다. 이 시따 잡는 것이 쉽지 않으니, 제가 이전 포스팅에서 알려드린 꿀팁을 활용해 꾸준히 시도해야 합니다. 
    • 진행: 예약한 날짜에 경찰서에 방문하여 준비된 서류들을 제출합니다. 이때, 서류가 미비하면 다시 방문해야 할 수 있으니 꼼꼼히 확인하세요. 서류 제출 후, 경찰서에서 서류 심사를 진행합니다. 이 심사는 1~2개월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스페인 니에(NIE, 외국인 식별번호) 신청 2단계: 시따(Cita) 잡는 꿀팁 총정리

    안녕하세요! 바르셀로나에서 일하며 살고 있는 제니입니다. 오늘은 스페인에 장기 체류 하려는 분들에게 가장 중요하고도 필수적인 과정, 바로 NIE (Número de Identificación de Extranjero, 외국인 식별

    holajeny.com

     

    2️⃣ 두 번째 방문: Favorable 확인 & 지문 등록 (Toma de huellas)

    • 목적: 제출한 서류가 승인되었다는 'Favorable (승인 완료)' 확인을 받고, TIE 카드 발급을 위한 지문과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입니다.
    • 진행: 서류 심사 후, 'Favorable' 통지를 받게 됩니다. 이 통지는 보통 별도로 오지 않으며, 여러분이 Cita 예약 웹사이트에서 본인의 NIE 번호로 직접 진행 상황을 확인해야 합니다. 'Favorable' 상태임을 확인했다면, 다시 한번 경찰서 방문예약 (시따, Cita)를 잡고 다시 경찰서에 방문합니다.
    • 준비: 방문 시에는 NIE 관련 Tasa (수수료) 납부 영수증 (Modelo 790, Código 012 양식) 이 필요합니다. 이 수수료는 12~16유로 정도이며, 은행에서 직접 납부해야 합니다. 미리 납부하고 영수증을 챙겨가세요. 

     

    3️⃣ 세 번째 방문: TIE 카드 수령 (Recogida de Tarjeta)

    • 목적: 모든 절차가 완료된 후, 마침내 실물 TIE 카드를 수령하는 단계입니다.
    • 진행: 지문 등록 후 보통 40일 정도 (지역과 시기에 따라 더 길어질 수 있음) 기다리면 TIE 카드가 발급됩니다. 역시 별도의 연락이 오지 않으므로, 경찰서 웹사이트에서 본인의 NIE 번호로 진행 상황을 확인해야 합니다. 'Lista para recoger (수령 준비 완료)' 상태임을 확인했다면, 마지막으로 경찰서 방문 시따 (Cita previa de recogida) 를 잡고 경찰서에 방문하여 TIE 카드를 수령합니다.
    • 준비: 카드 수령 시에는 본인 확인을 위해 여권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저는 이 카드를 받는 순간, 정말 스페인에 정착했다는 안도감과 뿌듯함을 느꼈습니다.

     

     

    NIE & TIE 발급 필수서류 완벽 정리

    스페인 입국 후 NIETIE 카드 발급을 위해 경찰서에 제출해야 할 서류들은 한국에서 비자를 신청할 때 제출했던 서류들과 상당 부분 겹치지만, 몇 가지 추가되거나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모든 서류는 원본과 사본을 준비해야 합니다.

    비자 신청서 (Formulario de Solicitud de Visado):

      • EX-17 양식을 작성합니다. 온라인에서 다운로드하여 인쇄할 수 있습니다.

    EX-17 양식다운받기

    여권 (Pasaporte):

    • 원본과 모든 면의 사본 (개인 정보 면, 비자 스티커 면, 스페인 입국 도장 면 등) 을 준비합니다.

    여권용 사진:

    • 최근 6개월 이내에 촬영한 여권 규격 사진 1장 준비합니다.

    입학 허가서 또는 연구 계획서:

    • 한국에서 비자를 받을 때 사용했던 서류의 원본 또는 공증된 사본을 준비합니다.
    • 학업 또는 연구 기간이 명확히 명시되어 있어야 합니다.

    엠빠드로나미엔또 (Empadronamiento):

    • 가장 중요한 서류 중 하나입니다. 스페인 입국 후 시청 (Ayuntamiento) 에서 발급받은 최신 거주지증명, 즉 엠빠드로나미엔또 입니다. 

    재정 능력 증명 서류 (Prueba de Solvencia Económica):

    • 한국에서 비자를 받을 때 제출했던 잔고 증명서 (Certificado de Saldo Bancario) 또는 재정 보증서 (Carta de Patrocinio) 및 관련 서류를 다시 준비합니다.
    • 잔고 증명의 경우, 잔고 금액은 최저소득지수 (IPREM, Indicador Público de Renta de Efectos Múltiples) 에 맞춰서 준비하면 된다. 예를 들어 2025년 기준 월 600유로이며 1년 비자를 신청하는 경우 계산법은 600유로(월 IPREM) x 12개월 = 7200유로 입니다. 
    • 가급적 스페인어 또는 영문으로 된 최신 서류를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 보험 증명서:

    • 스페인에서 유효한 의료 보험 가입 증명서를 준비합니다. 가급적 현지 보험에 가입하기를 권합니다. 한국에서 가입한 보험이라면 스페인어 번역과 공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Tasa 790, Código 012 양식 및 납부 영수증 (Justificante de Pago de Tasa):

      • 경찰서 방문 전, 은행에서 이 양식에 따라 TIE 카드 발급 수수료 (tasa de expedición de TIE) 를 납부하고 영수증을 받아야 합니다.
      • 온라인에서 양식을 작성하여 인쇄한 후 은행에 가져가서 납부하면 됩니다.

    Tasa 790_012 작성하러 가기

    한국에서 비자 발급 시 제출했던 기타 서류:

    • 대사관에 따라 추가적으로 요구할 수 있으니, 한국에서 비자 신청 시 제출했던 모든 서류들을 잘 보관하고 있다가 다시 제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 범죄 경력 증명서, 건강 진단서 등)

     

     

    성공적인 바르셀로나 정착을 위한 마지막 한마디

     

    스페인에 입국하여 바르셀로나 NIETIE 카드를 발급받는 과정은 복잡하고 다소 지칠 수 있지만, 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친다면 여러분의 스페인 생활은 훨씬 안정적이고 편리해질 것입니다. TIE 카드는 단순한 신분증을 넘어, 여러분이 스페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합법적으로 거주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가 될 것입니다.

    제가 알려드린 팁들을 바탕으로 차근차근 준비하신다면, 분명히 성공적으로 니에 서류TIE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을 거예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성공적인 스페인 정착과 행복한 바르셀로나 생활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Ánimo! (아니모! - 힘내세요!)

    반응형